비뇨기계 외과
일반외과의 비뇨기계는 신장(콩팥), 요관, 방광, 요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든 비뇨기계에 결석이 발생 할 수 있으며 그 중에 방광 결석 제거 수술은 동물병원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일반외과 수술 중에 하나입니다.
각 비뇨기계의 결석 제거 외에도 수신증 (Hydronephrosis) 으로 인하여 편측 신장을 제거하는 신장제거 수술이 있으며,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모든 비뇨기계에 종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7세 이상의 노령견/노령묘에서 비뇨기계 건강검진이 필요합니다.
소화기 외과
일반외과의 소화기계는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항문, 간, 담낭 등으로 구성됩니다.
구강 부위는 침샘 낭종, 구개열 수술, 위, 소장 부위는 이물 수술, 간의 종양, 담낭의 점액 낭종 등의 수술이 있으며, 소화기계의 가장 많은 수술은 식도, 위, 소장 부위의 이물 수술입니다.
위, 소장, 대장, 간, 담낭 등의 모든 소화기에 노령견에서 종양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소화기계의 치료는 이물, 종양의 제거를 위한 수술적인 치료가 진행됩니다.
종양 외과
일반외과에서 종양이 발생하는 부위는 비뇨기, 소화기, 생식기, 피부 등 모든 신체 부위에서 종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양의 치료는 내과적으로 항암제를 이용한 약물치료와 수술적인 제거로 가능합니다.
반려견이 식욕 감소, 원인 모를 체중 감소,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기력 저하 등을 보인다면 종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6~7 이상의 반려견 이라면 년 1회 정기적인 종합 검진을 받아서 종양의 조기 발견과 빠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호흡기 외과
반려견의 호흡기는 코, 비강, 기관, 기관지, 폐 등으로 구성됩니다.
콧구멍 협착의 교정 수술, 연구개 노장의 교정 수술이 반려동물에게 많이 시행되는 호흡기 수술입니다.
기관허탈 환자의 경우 증상이 가벼운 경우는 약물 치료로도 관리가 가능하지만 중증의 기관허탈 환자에서는 수술적인 교정이 필요합니다. 기관내 스텐트 삽입을 통하여 중증의 기관허탈 환자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폐의 염전 (Lung lobe torsion) 시에 폐의 절제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중성화 수술
중성화 수술은 수컷, 암컷에서 원치 않는 임신, 생활 습관을 교정하고 질병 예방을 위하여 중성화를 수술을 하게 됩니다.
남아 중성화 수술은 사나운 성격, 성적 행위, 영역 표시 등의 교정뿐만 아니라, 고환, 전립선 등의 생식기 종양을 예방, 치료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여아 중성화 수술은 동물병원에서 가장 많은 시행되는 수술인 유선종양, 자궁축농증을 비롯하여 자궁 종양, 난소 종양 등의 질병을 예방, 치료 할 수 있습니다.
탈장 교정 수술
탈장은 복부를 구성하는 배벽의 결함으로 복부 내용물이 돌출되는 경우입니다.
탈장이 발생하는 부위는 배꼽 (제대 허니아, umbilical hernia), 서혜부 허니아 (Inguinal hernia), 회음부 허니아 (Perineal hernia), 횡격막 허니아 (Diaphragmatic hernia) 등이 있습니다.
탈장은 대개 유전적이고 태아형성결함으로 나타나지만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탈장의 치료는 외과적인 수술만으로 가능합니다.
신경외과(디스크 질환)
디스크 물질이 탈출되어 척수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모습
디스크 질환은 (IVDD: Intervertebral disc disease) 외상, 퇴행성원인 등에 의한 척수병증 (목/등/허리: Cervical/ Thoracolumbar myelopathy) 이며, 이로 인해 사지 혹은 뒷다리가 불완전 혹은 완전마비 되는 질병입니다.
보행은 가능하지만 운동기능이 많이 감소하고 통증 호소를 하는 경우는 약물치료, 한방재활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보행이 불가능하고 일어서지조차 못한다면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마취
외과, 안과 수술을 받는 환자는 반드시 마취를 통하여 수술이 진행됩니다. 작은 종괴의 제거와 같은 간단한 시술은 부분마취, 주사마취 등으로 진행되고, 개복 이상의 수술은 반드시 호흡마취 하에 진행 됩니다. 이리온의 마취는 철저한 마취 전 검사 후에 진행됩니다. 마취 전 검사는 흉부, 복부 X-RAY, 혈액검사, 혈압 검사 등입니다. 마취 전 검사를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확인하고 환자에게 최적화된 마취를 실시합니다. 마취중인 환자는 심박수, 호흡, 체온, 혈압 등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수술 받는 환자가 안정적인 상태에서 마취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합니다. 마취만큼 중요한 것이 수술 중, 수술 후 진통입니다. 수술의 정도에 따라 필요한 경우 마약성 진통제를 이용하여 환자가 부드럽게 마취에서 회복하고, 수술로 인한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