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질환
각막 궤양 환자
안구의 가장 바깥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각막은 견종에 따라 약 0.5~0.8mm 두께이며, 건강할 경우 투명한 구조로 유지되며 가장 중요한 구조물 중에 하나이므로 통증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신경분포가 되어 있습니다. 각막 발생하는 질환은 각막염, 가벼운 각막 궤양, 깊은 각막 궤양, 데스메막류, 각막 천공, SCCED (Spontaneous chronic corneal epithelial defects) 등으로 다양합니다. 각막궤양은 반려동물 안과 질환 중 가장 많은 내원 이유로 꼽히고 있습니다. 시츄, 페키니즈와 같은 단두종에서 특히나 각막궤양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2차 감염이나 추가적인 각막 손상이 발생하기 이전에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양이 안과 질환
고양이의 안과 질환은 감염에 의한 각막 및 결막 손상, 외상에 의한 각막 궤양, 각막 천공, 안구 돌출, 장기간의 포도막염에 의한 백내장, 망막 분리 등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전염병에 이환된 경우 호흡기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허피스 바이러스 감염은 심한 경우 결막 부종으로 인해 각막 유착에 이를 수 있으며 제때 치료하지 않는다면 실명의 위험도 있습니다.
녹내장
심한 상공막 충혈이 있는 녹내장 환자
녹내장은 여러 가지 원인 (선천적, 후천적)에 의해 안압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망막 신경절 세포 (retinal ganglion cell; RGC)의 손상을 동반한 시신경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병입니다. 녹내장시에 증상은 심한 충혈, 동공의 산대, 각막이 뿌옇게 보이고, 시력 저하, 통증을 호소합니다. 여러 위험 인자 중 안압 상승 (30 mmHg 이상)이 가장 중요하며, 약물 혹은 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백내장과 함께 시력을 영구적으로 잃게 하는 주요 안과 질환입니다. 사람은 정상안압 녹내장도 있지만 반려동물의 경우 급성으로 안압이 높게 오르며, 안압을 저하시켜 주는 적절한 치료가 없다면 시력을 잃게 됩니다.
망막 질환
반려동물의 정상 망막
망막은 각막, 수정체 등을 통과한 물체의 상이 맺히고, 그 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안구 구조물이며, 시력을 유지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반려동물의 망막 질환으로는 망막의 박리, 진행성 망막위축증, 시신경염, SARD (Sudden Aquired Reninal Disease) 등이 있으며, 치료가 어려우며 시력을 잃는 경우가 많습니다. 망막의 치료는 약물치료, 망막박리의 경우 레이져를 이용한 수술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안검 질환
반려동물의 안검 (눈꺼풀) 은 상, 하안검과 제 3안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안검이 내번되거나 외번되면 각막염을 일을 킬 수 있습니다. 안검에 잘못난 털 (첩모) 에 의해서도 각막 상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노령견에서 안검과 제 3안검에 종양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안구 건조증
안구의 가장 바깥쪽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안구 구조물인 각막, 그 각막을 보호해 주는 것이 눈물층 (Tear film) 입니다. 두께는 약 8~9µm 이며, 반려동물의 정상 눈물량은 1분간 눈물량 검사지로 15mm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안구 건조증의 원인은 약물독성, 면역매개성, 신경원성, 외상 등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며, 증상은 결막의 충혈, 점액성 눈꼽이 많으며, 2차 감염이 동반된 경우 농성 안구삼출물을 보입니다. 만성인 경우, 각막염, 각막 착색, 각막 혈관화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유루증
사람과 반려동물의 눈물의 생성과 배출
반려동물의 눈물은 위눈꺼풀 외측과 제 3안검에서 생성되어 배출됩니다. 유루증은 눈물샘에서 생성된 눈물이 사용되고 내안각 부위의 상, 하 누점을 통해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고 넘쳐흐르는 것입니다. 눈꺼풀의 잘못난 털의 자극으로 과도하게 눈물이 생성되거나, 안검의 내번증, 누관의 폐색 등이 원인입니다. 푸들, 말티즈, 비숑프리제 견종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포도막염
포도막은 동공을 이루는 갈색의 홍채와 모양체, 안구 뒤부분의 맥락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홍채, 모양체, 맥락막 각 부위의 감염과 면역매개성으로 발생하며, 종양 (림포마) 에 의한 2차적인 포도막염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증, 유루증, 충혈, 축동, 안구내 유착, 안구내 염증물, 각막 부종, 심한 경우, 안구내 축농, 안구내 출혈, 망막박리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